Photo by 김재경
인천 동춘동 성당
2012
Location : Dongchun-dong, Yunsoo-gu, Incheon
Site area : 3,989.78㎡
Building area : 1,594.51㎡
Building use : CATHOLIC CHURCH
Prologue
동춘동성당 건립은 동춘1지구 도시개발 사업에 의한 이전에 따른 건축이었다.
건축의 주안점은 신자들이 선호하는 아름답고 편리한 혼배성당 , 주위의 자연에 순응하며 또한 지속가능한 친환경 성당의 건축이다.
성당은 하얗다. 장식이 없다. 매끄럽게 보인다. 하지만 표면은 부드러운 듯 거칠다. 장식이 없어 단순해 보이지만 눈부신 햇살은 하얀 벽면에 그림자라는 수많은 장식을 만들어 놓는다.
건축적 장식을 만들고자 하였다. 회랑의 하얀 기둥 들 사이를 걸어 다니는 사람들 조차 이 성당에선 조형 요소가 된다. 이 건물의 각 조형적 요소는 빛과 강하게 상호 작용한다.
광장 전면의 커다란 본당은 조형적 절제를 통해 성당이 갖는 위압감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커다란 벽면을 비대칭의 사선 면으로 처리하였고, 1층 부분을 회랑으로 구성하여 성당으로
서의 최소한의 상징을 부여함과 동시에 보다 가볍게 보이도록 하였다.
성당은 불편하다. 의도적으로 동선은 길고 과정적이다. 하나의 의도된 동선이 아니라 여러 가지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주출입구 계단을 올라 중정을 둘러싼 회랑공간을 거쳐 경사로에 이른
다. 본당은 경사로를 통해 중정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 경사로는 측면 부지와의 경계 벽이며 또한 중정의 공간을 완결 짓는 하나의 요소가 된다.
대지는 봉재산을 배경으로 오르막이다. 대지 전면은 아파트 촌이고 후면은 고등학교와 초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또한 앞뒤로 긴 대지의 특성은 공간과 건물의 배치를 결정하였다.
배치에 있어서는 도시 주거지와 본당과 후면 학교와의 관계 설정이 주요 인자가 되었다. 부속동과 본당, 사제관의 매스 사이에 중정광장, 중정, 썬큰의 외부 공간을 삽입하여 시각적으로는
차단되지만 공간적으로 연속되는 오르막의 흔적을 남기고자 하였다.
배치에서 중심은 본당과 그와 대치되는 중정 광장이다. 이 광장은 동춘동 성당 건축의 핵심이다. 적절히 폐쇄적이지만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공간, 단지 신자들만의 공간이 아닌 주위 주민들
도 거부감 없이 접근할 수 있는 건축적 쉼터를 만들고자 하였다.
This project was initiated in accordance with the urban district renovation plan of Dongchun 1 region
A beautiful and convenient cathedral for wedding , while conforming to natural surroundings and sustainable, was a focal point for the planning.
The cathedral is white and looks smooth without decorations, however the surface is softly rough.
The white wall without any decorations looks simple but produces so many decorations of shadows in the surface with eye-dazzling sunshine.
That is to say, architectural decorations were intended so that even strolling people between white colums of corridor become meaningful styling components.
The styling components of the building have strong interactions with lights.
The main hall in front of plaza was designed to reduce the feeling of overpower of the cathedral through styling moderation.
For this purpose, huge wall surface was designed as asymmetrical diagonal. Moreover wall surface part of the ground floor was planned as passage so that the cathedral looks easy
while commanding minimum level of symbolic dignity.
The cathedral is not convenient. The movement flow line is long and in the process.
It produces diverse stories not one intended flow.
You clime the main entrance stairs up to the ramp through the corridor space surrounding the courtyard.
The main hall is connected to a courtyard in a natural way through a ramp.
This ramp is not only a border to near site but makes a critical component completing the space of the courtyard.
The site is ascending with the background of Bongjae mountain. In front of the site is located apartment complex and a few schools are in the back of the site.
The arrangement of space and buildings was planned in the considerations of the attributes of the site which is long back and forth.
The outer space such as plaza, court, and sunken is arranged between mass of main hall and annex so that trace of continuing ascending space, although visually disconnected.
The plaza , arranged in the opposite to the main hall, comes as the core in the planning of the cathedral.
Properly disclosed but open for the communication with outside, the space was intended for an architectural shelter not only for the faithful but all other village people.
예배당 주출입구 , 성수대
예배당
본당 주출입구
본당 홀
주출입구
Plan drawings
Section drawings
Model photos